티스토리 뷰
반응형
요즘은 혼자 생활 하시면서 반려견을 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한동안 집에서 재택근무를 하시는 분들도 많았지만 이제는 많은 분들이 직장으로 출근을 하시게되었습니다. 이로인해 하루종일 집에서 붙어있던 반려견의 분리불안 증세로 고민하시는 반려견주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 글을 통해 반려견의 분리불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대처법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 반려견 분리 불안이란?
반려견의 분리불안이란 강아지가 보호자와 떨어지거나 혼자 남아있는 경우 극심한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느끼며 이를 여러가지 이상 행동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말합니다.
2. 반려견에게 분리 불안이 일어나는 이유
- 반려견 중 과거에 유기되었거나 방치된 경험이 있는 경우 분리 불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어미 개에게서 너무 일찍 떨어진 경우 혹은 태어난 후 생후 초기에 사람 또는 다른 동물들과의 교류가 없었던 경우도 분리 불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삶의 환경이 바뀌거나 보호자가 바뀌는 경우 분리 불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함께 살던 다른 강아지 혹은 가족 구성원이 사망하는 경우도 분리 불안을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입니다.
- 함께 사는 가족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려견이 혼자 있을수 있도록 훈련이 이루어져야합니다. 이러한 훈련이 제대로 안된 경우 갑작스럽게 혼자 있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면 강아지는 그 상황을 적응하지 못하고 분리 불안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3. 반려견 분리 불안 증세
- 분리 불안이 있는 반려견의 경우 혼자 있게 되는 순간 보호자를 부르는 행동을 과도하게 합니다. 그 행동으로는 반복적으로 낑낑거리거나, 울부짖고, 심하게 짖기도 합니다.
- 강아지가 불안해 하며 집 안을 계속 서성거리거리며 안절부절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분리 불안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집안 내부에 있는 소파, 식탁, 책상과 같은 가구 혹은 운동화 같은 것들을 씹어버립니다.
- 집안 문이나 벽을 끍는 행동도 할 수 있습니다.
- 혼자 있게된 공간에서 탈출하기 위한 행동을 계속적으로 반복합니다.
- 증세가 심한 분리불안을 경험하는 강아지의 경우 때때로 많은 침을 흘리기도 합니다.
- 분리불안을 경험하는 반려견 중에는 종종 식욕이 감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평소에 배변 훈련이 잘되어 있는 반려견임에도 불구하고 배변 실수를 합니다.
4. 분리 불안을 해결하는 방법
- 반려견이 에너지를 방출 할수 있도록 매일매일 정기적인 산책 및 외부활동이 필요합니다. 체력을 어느정도 소비한 강아지는 피로감으로 인하여 쉬면서 혼자 편하게 있는것이 좀 더 자연스럽게 이뤄질수 있습니다.
- 보호자와 반려견이 서로 떨어져 있는 연습을 반드시 점진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일부러 문 밖으로 나가 1분 정도 있다가 다시 들어 옵니다. 이런식으로 시간을 점점 늘리며 보호자가 떠나더라도 다시 곧 돌아온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반려견을 안정시켜 주십시오.
- 강아지들도 자기만의 전용 공간이 필요합니다. 본인의 전용 공간 안에서 혼자 있어도 안정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많은 보호자 분들이 반려견 켄넬을 통해 강아지에게 전용 공간을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 공간의 종류도 중요하지만 공간의 환경도 중요하므로 꼭 켄넬 만을 이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반려견이 혼자 조용히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곳이면 됩니다.
- 반려견이 혼자 남을 경우 할수 있는 놀이나 간식 등을 숨겨 놓는 것이 좋습니다. 혼자 남겨져도 재미있는 일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 시켜 주십시오.
- 보호자가 출근해서 하루 종일 집에 없다가 집으로 돌아오면 반려견이 엄청난 반가움을 표현하며 보호자에게 점프를 하는 등 과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경우 반려견이 흥분을 멈추고 차분해질때까지 관심을 주지 마시고 기다려 주십시오. 반려견이 차분함을 찾으면 그때 보호자도 침착하고 안정된 목소리로 과하지 않게 강아지를 반겨 주시는게 중요합니다.
5. 정리
반려견의 분리 불안을 위한 해결 방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점진적으로 강아지와 보호자가 떨어지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연습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며 꾸준히 반복해 주십시오. 강아지가 혼자 있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지 않을때까지 꾸준히 연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연습은 앞서 소개한 분리 불안을 해결 하는 방법에 있는 여러 다른 해결 방법들과 동반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분리 불안 뿐만 아니라 강아지의 건강한 행동을 위한 가장 기본은 충분한 산책임을 다시한번 말씀드리며 이 글을 마무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